본 규정은 대한민국 스포츠의학 분야의 연구 발전을 도모하고자 스포츠 의학 발전에 공헌이 큰 학자의 시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상의 명칭은 “제마스포츠의학상” 이라 칭한다.
대한민국 스포츠의학 발전을 위한 연구논문이나 업적을 매년 공모과정을 통해 제출 받은 뒤 이를 대상으로 심사한다. 공모절차는 “제마스포츠의학상 운영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매년 1명을 수상함을 원칙으로 한다. 만약 수상대상자가 결정되지 않았을 때에는 시상을 하지 않으며, 운영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복수로 수상할 수 있다.
제마스포츠의학상 운영위원회는 운영위원장 1명과 운영위원 4명으로 구성한다. 이때 심사위원장은 운영위원장이 겸임한다.
연도 | 성 명 | 소 속 | 논문제목 | 게재학회지 |
---|---|---|---|---|
제24대 (2025년) | 오주한 | 분당서울대병원 | 한국 프로야구 투수의 프리시즌 어깨 평가와 Kerlan-Jobe 어깨 팔꿈치 점수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 분석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41권 2호 |
제23대 (2022년) | 이태임 | 용인세브란스병원 | 대한민국 국가대표 여자 선수들의 월경전 증후군 유병률과 위험 요인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9권 1호 |
제22대 (2021년) | 신명호 | 건국대학교병원 | 운동 사슬 개념을 사용한 어깨 외회전 운동 시에 정적 및 동적 신체 자세에 따른 어깨 근육 활성도의 변화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8권 4호 |
제21대 (2020년) | 제세영 | 서울시립대 스포츠과학과 | 노인 고혈압 환자에서 등척성 악력운동과 유산소 운동의 동맥경직도 및 혈관이완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비교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7권 4호 |
제20대 (2019년) | 양성석 | CM병원 정형외과 | 국내 운동선수에서 비타민 D 수치의 현 상태 및 결핍과 관련된 인자: 실내외 종목에 따른 차이,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계절 변동과의 관련성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6권 2호 |
제19대 (2018년) | 김병성 | 경희의료원 가정의학과 | 성인에서 신체활동이 골절발생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지역사회 코호트 자료에 기반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5권 2호 |
제18대 (2017년) | 김연수 |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 단기간의 혈액투석 중 근력운동이 환자의 보행 관련 체력, 우울감과 투석 적절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4권 2호 |
제17대 (2016년) | 이종삼 | 대구대학교 체육학과 | 견갑골 안정화 운동이 청소년 야구선수의 견관절 근 기능 및 통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3권 2호 |
제16대 (2015년) | 김은국 | 한국체육대학교 재활의학과 |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고유수용감각 기능의 평가와 검사의 효율성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1권 2호 |
제15대 (2014년) | 김상훈 | 대한선수트레이너협회 | 비디오 분석을 이용한 한국프로축구의 스포츠상해와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9권 1호 |
제14대 (2013년) | 김진구 |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고유수용감각 기능의 평가와 검사의 효율성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9권 1호 |
제13대 (2012년) | 김정환 | 강릉아산병원 정형외과 | 스키 및 스노우보드 손상의 최근 동향과 10년간 변화분석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8권 2호 |
제12대 (2011년) | 안재기 | 상계백병원 재활의학과 | 아마추어 마라톤 주자에서의 마라톤 완주 전 후 생화학적 골대사 지표의 변화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7권 1호 |
제11대 (2010년) | 박원하 |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 노인 남성에 있어서 최대산소섭취능력과 골밀도와의 관련성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7권 1호 |
제10대 (2009년) | 경희수 | 경북의대 정형외과 | 운동선수의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수상전 상태로의 복귀에 대한 결과:잔류 조직 보존술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6권 1호 |
제9대 (2008년) | 박진영 | 건국의대 정형외과 | 충돌증후군에서 충돌 검사 전후 견관절 통증 및 기능의 변화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5권 1호 |
제8대 (2007년) | 전철홍 | 원광의대 정형외과 | 슬관절 탈구의 전후방 십자인대 손상 시 관절경하 동시 재건술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4권 1호 |
제7대 (2006년) | 김기진 | 계명대학교 체육대학 | 성인의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 변이에 따른 체지방 분포양상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3권 1호 |
제6대 (2005년) | 정홍근 | 단국의대 정형외과 | 대학 운동선수들에서의 족부 및 족관절 부위의 스포츠 손상에 대한 분석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2권 2호 |
제5대 (2004년) | 정일규 | 한남대학교 생활체육학과 | 상하지의 등속성 굴근력과 신근력, 그리고 근육량과 골밀도의 상관관계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1권 2호 |
제4대 (2003년) | 김승호 | 성균관의대 정형외과 | 견관절 재발성 탈구에서 관절경적 견관절 전방 고정술의 결과 : 2년에서 6년간의 추시관찰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1권 1호 |
제3대 (2002년) | 조성연 | 하늘스포츠 의학클리닉 | 프로농구선수 포지션에 따른 균형능력과 체격 및 전신반응과의 상관관계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0권 1호 |
제2대 (2001년) | 이경태 | 을지의대 족부정형외과 | 프로축구선수의 손상분석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18권 2호 |
제1대 (2000년) | 양윤준 | 인제의대 가정의학과 | 운동 참여 설문 개발과 적용 |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17권 2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