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메뉴 토글 버튼

학회소개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Medicine

역대시상

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본 규정은 대한민국 스포츠의학 분야의 연구 발전을 도모하고자 스포츠 의학 발전에 공헌이 큰 학자의 시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상의 명칭】

본 상의 명칭은 “제마스포츠의학상” 이라 칭한다.

제3조 【상의 성격】

대한민국 스포츠의학 발전을 위한 연구논문이나 업적을 매년 공모과정을 통해 제출 받은 뒤 이를 대상으로 심사한다. 공모절차는 “제마스포츠의학상 운영위원회”의 결정에 따른다.

제4조 【수상 인원】

매년 1명을 수상함을 원칙으로 한다. 만약 수상대상자가 결정되지 않았을 때에는 시상을 하지 않으며, 운영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복수로 수상할 수 있다.



제2장 수상자 자격 및 조건

제 5 조 【수상자 자격】

  1. 대한스포츠의학회의 정회원으로서 회칙에 규정된 의무를 다한 자.
  2. 대한민국 스포츠의학 발전의 기여도가 크거나, 연구활동을 활발하게 하거나 또는 대한스포츠의학회의 위상을 높인 자.
  3. 국내 및 국외 스포츠의학 관련 학술지에 심사기준일 3년 이내에 원저로 발표된 논문의 제 1저자 또는 연락책임 저자.
  4. 공동연구의 경우 연구계획서 상의 책임연구자가 수상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 6 조 【수상자의 의무】

  1. 수상자의 연구논문은 해당 년도 대한스포츠의학회 학회지에 게재함과 동시에 당 학회에 발표해야 할 의무가 있다.
  2. 만일 수상자가 제 6조 1항을 준수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벌칙으로 이후 제마스포츠의학상 수상대상에서 제외되며 대한스포츠의학회 학회지에 다른 연구논문을 게재할 수 없다.


제3장 수상자 선정

제 7 조 【운영위원회 구성】

제마스포츠의학상 운영위원회는 운영위원장 1명과 운영위원 4명으로 구성한다. 이때 심사위원장은 운영위원장이 겸임한다.

제 8 조 【수상기준】

  1. 운영위원들은 수상자의 논문, 연구활동, 학회활동 및 대한스포츠의학회의 기여도 등을 평가하여 운영위원장에게 보고한다.
  2. 수상자는 Traumatology와 Non-Traumatology로 구분하여 격년제로 1명씩 선정한다.
  3. 최종 수상자결정은 운영위원장이 한다.
  4. 기타 심사에 필요한 세부사항은 따로 정한다.
  5. 운영위원장은 수상자를 대한스포츠의학회 정기총회 전 회장에게 통보한다.

제4장 상의 수여

제 9 조 【상금 및 상의 수여】

  1. 제마스포츠의학상 기금은 “하권익 회원”이 기부하신 3,000만원과 “체육진흥공단”에서 보조 받은 500만원으로 조성한다.
  2. 상은 상장과 상금(부상)으로 한다.
  3. 상의 시상은 매년 대한스포츠의학회 정기총회에서 한다.


제마스포츠의학상 역대 수상자

연도 성 명 소 속 논문제목 게재학회지
제24대 (2025년) 오주한 분당서울대병원 한국 프로야구 투수의 프리시즌 어깨 평가와 Kerlan-Jobe 어깨 팔꿈치 점수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 분석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41권 2호​
제23대 (2022년) 이태임 용인세브란스병원 대한민국 국가대표 여자 선수들의 월경전 증후군 유병률과 위험 요인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9권 1호​
제22대 (2021년) 신명호 건국대학교병원 운동 사슬 개념을 사용한 어깨 외회전 운동 시에 정적 및 동적 신체 자세에 따른 어깨 근육 활성도의 변화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8권 4호​
제21대 (2020년) 제세영 서울시립대 스포츠과학과 노인 고혈압 환자에서 등척성 악력운동과 유산소 운동의 동맥경직도 및 혈관이완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비교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7권 4호
제20대 (2019년) 양성석 CM병원 정형외과 국내 운동선수에서 비타민 D 수치의 현 상태 및 결핍과 관련된 인자: 실내외 종목에 따른 차이,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계절 변동과의 관련성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6권 2호
제19대 (2018년) 김병성 경희의료원 가정의학과 성인에서 신체활동이 골절발생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지역사회 코호트 자료에 기반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5권 2호
제18대 (2017년) 김연수 서울대학교 체육교육과 단기간의 혈액투석 중 근력운동이 환자의 보행 관련 체력, 우울감과 투석 적절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4권 2호
제17대 (2016년) 이종삼 대구대학교 체육학과 견갑골 안정화 운동이 청소년 야구선수의 견관절 근 기능 및 통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3권 2호
제16대 (2015년) 김은국 한국체육대학교 재활의학과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고유수용감각 기능의 평가와 검사의 효율성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31권 2호
제15대 (2014년) 김상훈 대한선수트레이너협회 비디오 분석을 이용한 한국프로축구의 스포츠상해와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9권 1호
제14대 (2013년) 김진구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고유수용감각 기능의 평가와 검사의 효율성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9권 1호
제13대 (2012년) 김정환 강릉아산병원 정형외과 스키 및 스노우보드 손상의 최근 동향과 10년간 변화분석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8권 2호
제12대 (2011년) 안재기 상계백병원 재활의학과 아마추어 마라톤 주자에서의 마라톤 완주 전 후 생화학적 골대사 지표의 변화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7권 1호
제11대 (2010년) 박원하 삼성서울병원 재활의학과 노인 남성에 있어서 최대산소섭취능력과 골밀도와의 관련성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7권 1호
제10대 (2009년) 경희수 경북의대 정형외과 운동선수의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수상전 상태로의 복귀에 대한 결과:잔류 조직 보존술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6권 1호
제9대 (2008년) 박진영 건국의대 정형외과 충돌증후군에서 충돌 검사 전후 견관절 통증 및 기능의 변화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5권 1호
제8대 (2007년) 전철홍 원광의대 정형외과 슬관절 탈구의 전후방 십자인대 손상 시 관절경하 동시 재건술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4권 1호
제7대 (2006년) 김기진 계명대학교 체육대학 성인의 베타-3 아드레날린 수용체 유전자 변이에 따른 체지방 분포양상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3권 1호
제6대 (2005년) 정홍근 단국의대 정형외과 대학 운동선수들에서의 족부 및 족관절 부위의 스포츠 손상에 대한 분석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2권 2호
제5대 (2004년) 정일규 한남대학교 생활체육학과 상하지의 등속성 굴근력과 신근력, 그리고 근육량과 골밀도의 상관관계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1권 2호
제4대 (2003년) 김승호 성균관의대 정형외과 견관절 재발성 탈구에서 관절경적 견관절 전방 고정술의 결과 : 2년에서 6년간의 추시관찰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1권 1호
제3대 (2002년) 조성연 하늘스포츠 의학클리닉 프로농구선수 포지션에 따른 균형능력과 체격 및 전신반응과의 상관관계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20권 1호
제2대 (2001년) 이경태 을지의대 족부정형외과 프로축구선수의 손상분석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18권 2호
제1대 (2000년) 양윤준 인제의대 가정의학과 운동 참여 설문 개발과 적용 대한스포츠의학회지 제17권 2호